자료실
HOME 알림마당 자료실
|
||||||||||
작성자 : 최고관리자 | 등록일시 : 2008-05-09 16:31:27 | |||||||||
|
||||||||||
외국어고 출신이 법대나 경영대에 응시하거나 과학고 출신이 의대를 지망하는 경우에는 대학입시에서 손해를 볼 수밖에 없게 됐다. 외고 출신은 어문계열을, 과학고 출신은 이공계를 지원할 때만 내신평가에서 역(逆)차별을 받지 않도록 ‘특목고 동일계 특별전형’의 배려를 해주겠다는 게 교육부의 방침이다. 외고 출신이 어문계열로 진학하는 비율은 30%가 채 안 된다. 따라서 비(非)어문계 대학에 진학하려는 나머지 70%는 대학입시에서 손해를 보게 된다. 우수 학생이 모여 있는 외고 출신은 내신 산정에서 밑지고 들어갈 수밖에 없다. 과학고는 비(非)이공계 진학 비율이 16%라서 외고만큼 타격이 크지는 않지만 어쨌든 학과 선택의 폭이 좁아졌다. 결국 학부모들은 특목고를 기피하게 될 것이다. ‘특목고 고사(枯死)’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것이다. 올해 서울지역 6개 외고의 입학 경쟁률은 6.99대1이었다. 학부모들이 이처럼 자녀를 특목고에 보내려고 애쓰는 이유는 거기 보내면 안심이 되기 때문이다. 수준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어 공부하는 분위기부터가 일반 학교와 다른 것이다. 그런데도 교육부는 ‘수준별 교육’의 수요를 충족시켜 줄 대안은 제시하지도 않으면서 무작정 특목고 때리기부터 시작했다. 학교에서 밤 12시에 강제로 소등(消燈)시켜 버려도 이불을 뒤집어쓰고 플래시 불빛으로 공부한다는 게 자립형사립고의 아이들이다. 새 대입안이 확정되면 그 자립형사립고 학생들도 역차별을 받게 된다고 한다. 교육부가 쏟아내고 있는 정책의 명분은 공교육 살리기라는 것이다. 그러나 내신점수의 배점을 높여 교사의 권위를 세워준다고 해서 공교육이 살아나지는 않는다. 수능에서 2만4000명을 똑같은 1등급으로 만들겠다는 코미디 같은 일을 하는 게 교육부다. 앞서 가는 학교는 반드시 발을 걸고, 학생들에게는 적당히 공부하라는 신호나 보내면서 대학민국 교육부는 국민의 세금을 축내고 있는 것이다. 2004. 10. 26 조선일보 |
||||||||||
이전글 | [기사]학급붕괴 일본보다 한국이 더 심각하다. |
다음글 | [논단] 사립학교법 개정 유감 |